지난 10월 29일 - 11월 10일, 칠레 CTIO 천문대에 관측을 목적으로 출장을 다녀왔다. 칠레에는 남반구에서 천체관측 조건이 가장 좋은 곳을 소유하고 있어서, 세계 여러 나라의 대형 망원경들 (구경 8m급의 VLT, Gemini 등)이 위치하고 있다 (북반구의 경우, 하와이). 우리나라가 참여하는 구경 25m급의 GMT 프로젝트도, 칠레에 지어질 계획이다. 내가 다녀온 곳은 CTIO라고 하는 곳으로, VLT, Gemini등의 망원경이 있는 곳에서 멀지 않은 봉우리에 있다.

  칠레는 남반구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별자리와는 완전히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별자리인 오리온자리의 경우 칠레에서 보면 위-아래가 뒤집혀서 보인다.

참고글 : 2010/11/02 - [별을 보는 이야기/잡담] - 남반구에서는 별자리가 뒤집힌다


  칠레까지 가는데 인천->L.A -> (리마 경유) -> 산티아고 -> 라 세레나  총 4번의 X-ray 검색대를 통과하면서 "이거 필름이니 제외해달라" 설명하는 것도 귀찮았지만, 나름 가는 동안에는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을거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막상 가서 찍어보니, 하늘이 지나치게 어두워서 뷰파인더로는 구도를 잡을 수도 없고, 당연히 수평 맞추기도 쉽지 않고, 연구용 데이터를 얻는 천문대에서 손전등 하나 켜는 것도 눈치가 보이고 (손전등 작은 것만 켜도 되게 밝다), 여러모로 어려움이 있었다.

  칠레 천문대의 하늘이 얼마나 어두웠냐면, 달도 없는 하늘에서 오로지 별빛만으로 도로의 차선이 구분되어 걸을 수 있는 정도였다. 사진을 찍을 때에도, 암적응이 되면 돔 사이사이로 난 하얀색 선을 따라서 손전등 없이 이동했다. 그렇지만 역시 처음 찍는 곳에서 노출잡기가 쉽지는 않았다. 예전에 우즈베키스탄에 가서 대부분의 사진이 노출부족이 나온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아예 극단적으로 조리개를 여는 노출을 주었다.

참고글 : 2010/10/05 - [여행] - 우즈베키스탄 마이다낙 천문대


  하필 출발 직전 내 카메라가 고장나는 바람에, 내 카메라와 기종이 같은 학교 카메라 중에서 골라서 카메라를 들고 갔다. 그러나 현상후에 확인해보니 카메라 상태가 역시 좋지 않아서, 4컷 중 두 컷이 겹치고 한 컷이 빛이 새서 망가졌다. 운이 좋게도 네 컷 모두 노출이 맞았는데, 찍을 때 필름을 넘기는 와인더가 감이 좋지 않더라니 무려 세 컷을 카메라가 날려먹었다.

4m 망원경 돔과 남천일주 : 유일하게 살아남은 한 컷.

카메라 : 펜탁스 MX, 렌즈 : Vivitar 24mm F2.8, 필름 : E100VS (+2 증감), 노출시간 : 2시간 (새벽 박명빛 포함), 조리개 : 4


  우리나라에서 북천일주를 찍으면, 북극성이 가장 작은 원을 뚜렷하게 그리는 북천일주사진이 찍힌다. 그러나 남반구에는, 천구의 남극 근처에 북극성(2등성)같은 뚜렷한 별이 없다.

참고 : 2010/05/30 - [사진/천체사진] - 영양 반딧불이 천문대 - 영양 반딧불이 천문대 뒷산에서 찍은 북천일주
         2010/05/25 - [사진/천체사진] - 보현산 천문대 - 보현산천문대에서 찍은 북천일주

  수평도 살짝 기울어진데다, 렌즈의 왜곡으로 천문대의 돔이 기울어져 있다 (싸구려 광각렌즈는 다루기 쉬운 물건이 아니다 ㅠㅠ). 여러모로 아쉽지만, 그래도 처음 찍은 장소에서 저 정도를 건져온 것을 다행으로 여겨야겠다.


 

 

 

'사진 > 천체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원경이 모이는 곳 : 칠레  (0) 2011.11.15
목성사진 - 2010. 09. 28.  (0) 2010.10.06
필름카메라로 찍은 달 사진  (2) 2010.06.21
영양 반딧불이 천문대  (0) 2010.05.30
처음으로 웹캠으로 찍은 토성  (2) 2010.05.28
Posted by 당근day
,
관측이 있어서 칠레에 왔다.

사진도 좀 찍을 겸, 필름을 좀 가져왔는데

비행기를 3번 갈아타다 보니 X-ray 검사 할 때마다 필름이 걸리적 거린다...


그건 그렇고, 필름은 별 잘 보이는 천문대에서 소모할거라서

천문대 올라가기 전에 하루 La Serena라는 도시에서 묵으면서 디카로 별을 좀 찍어 보았다.

별을 찍는데에는 익숙하지 않은 DSLR로 찍었더니, 초점도 안 맞고 엉망이다

대마젤란 은하가 흐릿하게나마 찍혔다




밤에 잠시 나가봤더니 별이 제법 보였다. 그래도 도시 인근이라서 잘 보이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로 치면 양평 외곽지역 정도로 보였다.

맨눈으로 뿌연 것이 보여서 쌍안경으로 보았는데, 대마젤란 은하였다. 맨눈으로 NGC 2516도 보였다.



지금은 CTIO 천문대에 올라와 있는데, 정말 별이 잘 보인다. 암적응이 되면 아무 불빛 없이 심지어 달빛이 없어도 차도를 따라갈 수 있을 정도로 별빛이 밝다. 손에 익은 필름카메라로 찍어서 현상하면 꽤 잘 나올 것 같다.
 
Posted by 당근day
,

많아지는 스모그
  최근들어 서울에는 스모그가 끼는 날이 많다. 가을의 높고 파란 하늘이 아니고, 스모그로 의심되는 뿌연 안개속에서 하루를 살아가는 날이 많아지도 있다. 대개 스모그의 주범을 자동차때문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가기 쉽고, 나도 그렇게 생각해 왔다.

  그러나 별을 보러 다니다 보면서 알게된 것은, 서울에 안개가 끼면 지방에도 안개가 끼고, 서울의 낮이 구름도 없이 뿌옇게 흐려져 있으면 지방도 그랬다. 일부러 별을 보러 다닌다고 다니기 힘든 곳만 골라다닐 때에도, 별이 잘 보이는 곳에서는 청명한데 서울만 뿌연 경우는 단 한 번도 보지 못했다. 

  그러던 중 내가 처음 중국을 스모그의 주범으로 생각하기 시작한 것은 베이징 올림픽때 부터였다. 2007년까지는 여름 내내 뿌연 날씨 속에서 살아야 했던 것이, 2008년 갑자기 청명한 날이 많아진 것이었다. 그것도, 베이징 올림픽을 코앞에 둔 시점부터. 

  만일 스모그의 원인이 서울이라면, 경북 오지에서는 하늘이 청명해야 하는 것이 맞다. 서울과 경북 오지에서 모두 뿌연 상태를 맞이한다면, 그리고 그 오염원이 멀지 않다면, 적어도 오염물질 발생지의 크기가 서울-경북 거리만큼 큰 곳에서 오는 것으로 봐야 한다. 이는 오염원이 우리나라가 아님을 의미한다. 



세계 오염지도

  위성을 통해 전 세계의 PM2.5 오염물질의 분포를 그린 지도가 최근 공개되었다. PM2.5는 공기중에서 크기가 2.5 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미세먼지를 의미한다. 다음 그림을 먼저 보자.

출처 : http://www.nasa.gov/topics/earth/features/health-sapping.html


  위 그림에서 붉은 색일수록 공기에 2.5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크기를 가진 입자가 많은 것이다. 그림에서 보면 중국이 굉장히 심하고, 사하라사막-중동으로 이어지는 사막지역이 그 다음으로 심하다. 사막보다 훨씬 심한 중국의 입자 밀도를 볼 때, 중국의 오염지역은 사막지역이 아닌 것으로 보아 산업화로 인한 극심한 대기오염일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지역은 중국에 비하면 다소 낫지만, 유독 서해안지역이 오염도가 더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공기오염의 주범은 중국?



  오른쪽 그림을 보면, 우리나라의 대기 오염은 유독 서해안지역에 집중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생각해볼 수 있는 대기오염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자동차, 둘째는 산업화.

  만일 자동차가 공기오염의 주범이라면, 한반도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서해안 지역의 대기오염 밀집은 북한지역에는 없어야 한다. 산업화 때문이라면, 남한에서 제일 오염이 심한 지역은 서해안보다는 공단이 밀집된 울산지역이어야 한다. 

  결론은, 우리나라의 공기 오염의 원인은 자동차도, 산업화 때문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일까?

  우리나라는 편서풍이 불고 동쪽에 산맥이 있어서, 서쪽에서 오는 공기가 동쪽의 산맥을 넘으면서 구름이 되어 비를 내리고 동해안으로 넘어간다. 위 그림은, 중국에서 발생된 오염물질들이 우리나라 서해안의 대기오염의 주범이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중국에서 온 오염물질들은 한반도 서쪽에 상륙해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구름이 되어 비에 섞여서 이땅에 내렸을 것이다. 그리고 동해안에 도착했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맑은 공기로 변신했을 것이다. 



중국의 극심한 대기오염 이대로 두어도 좋을까

  대륙은 대기오염 역시 스케일이 다른 모양이다. 중국의 공기야 우리가 들이마시는 것이 아니니 상관없는데, 우리나라가 중국의 동쪽에 있고 편서풍을 타고 이 오염물질들이 우리나라에 온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이다. 

  하나의 강을 상류와 하류로 나누어 가진 나라에서는 댐 건설조차 쉽지 않다고 한다. 이제는 공기도 물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인식하에, 우리나라 국민들의 삶의 질을 위해서, 우리나라 정부가 중국과 대기오염문제에 대해서 진지한 대화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대기오염은 관리되어야 한다.


Posted by 당근day
,